REVIEWS & NEWS 1 / 2 / 3 / 4 / 5
Exhibition Newsㅣ The Kyunghyang Shinmunㅣ 2011-10-13 옆집갤러리 공모작가展 23일까지 열려 한옥을 개조한 독특한 건축양식으로 알려진 창성동 옆집갤러리가 올해 자체공모전을 통해 선정한 신진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이는 두번째 전람회를 23일까지 연다. ‘The New Faces at Next Door 2011’(PART II)로 명명된 이번 전람회는 김아름·김윤수·윤예제·이현정·최안나·최영록 등 6명의 작가를 소개한다. ● 최영록 작가는 골프·테니스 등 스포츠와 자본주의 시스템의 유사함에 관심을 둔 그림을 출품했다. 이긴 자가 모든 것을 얻고 환호를 받는 운동경기의 경쟁구도를 빗대 현대사회의 냉혹함을 응시한다. 최 작가의 그림은 무거운 주제에도 불구하고 회화적인 상상력과 독특한 구도를 통해 이를 공격보다는 풍자와 사유의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 공의 궤적을 나타낸 표현이나 색의 변화로 단조로움을 피한 골프장 바닥의 구성 등이 인상적이다. ● 최안나 작가는 ‘회화를 위한 회화’라는 순수회화 개념 아래 구체적이거나 사실적인 묘사를 지양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점·선·면·색의 기본요소들을 통해 화폭에 펼친다. 추상화가 지닌 이미지의 확장이라는 강점을 이용해 감성과 시간의 단면을 평면 속으로 끌어 들이는 듯하다. ● 김아름 작가는 놀이공간에서 체험한 유년의 공포증을 그림으로 재현했다. 타로점 카드에 그려진 중의적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그림 속에서 목마는 미래나 즐거움에 대한 희망보다 현실의 답답함을 나타내는 메타포로 작용한다. ● 김윤수 작가의 회화는 숫자를 이미지화 했다. 숫자로 꽉찬 그림은 수표나 디지털 코드같은 이미지를 만든다. 인류가 지닌 가장 강력한 기호인 숫자에서 의미를 털어내고 이미지로 전환하려는 시도 속에서 숫자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가 발현된다. ● 윤예제 작가의 회화는 늪이나 버려진 욕조, 갈대밭의 한 부분 등 잘 발견되지 않고 방치돼 있는 공간을 담는다. <경향신문> 2011-10-13 손봉석 기자 |
Exhibition News |
Exhibition News
|
Exhibition Newsㅣ Art Actually ㅣ 2011-07-07 상업갤러리에서 전시를 한다는 것 상업갤러리에서 전시를 갖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작가는 작품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통해 창작에 관한 확고한 방향성을 갖게 되는 것, 갤러리는 유명하고 작가의 작품을 전시해 주목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의미다. 아울러 상업적 측면에 관한 부분도 무시할 수 없는 의미다. 왜냐면 작가는 다음 작업을 위해, 갤러리는 지속적인 전시 기획과 작가 지원을 위해 '돈 버는 일'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의 일면에서는 창작에 대한 진정성 때문에 상업적인 측면이 가볍게 다뤄지곤 했다. ● 그러나 갤러리에서 작품이 팔린다는 것은 갤러리와 작가, 컬렉터 사이에 공감과 소통을 바탕에 둔다. 이 소통은 작가의 창작에 확신을 주고, 이 확신은 작업데 대한 깊이를 만들어 주기 때문에 작품의 거래는 어떤 면에서 가장 진지한 행위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업적인 측면은 한국미술시장의 건정한 성장과 예술의 깊이를 더하는 데 더없이 중요하다. ● 작가와 갤러리, 그리고 컬렉터 사이에 일어나는 관계를 되돌아보는 전시 'Become We'전이 8일부터 열린다. 옆집갤러리와 갤러리 포월스가 공동기획한 이번 전시는 갤러리와 갤러리 간에 어떻게 바람직한 의미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지 고찰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작가 소개 생략) * 이동권 기자 |
Exhibition News 남자와 여자로 의인화된 마요네즈와 토마토케첩 튜브를 통해 인간의 내면적 모습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가하면 현대인의 일상과 욕망을 은유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최유희는 캔버스의 표면을 덮으며 무한히 증식하는 이미지를 통해 현대인의 ‘위장된 삶’의 모습을 구현한다. 삶 속에서 당면하는 상황에 따라 태도가 변하는 인간의 모습처럼 본질적인 현대인의 문제, 상처들을 철저히 감추는 것에 익숙해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보여준다. / CNB저널, 이선유 기자, 2011-06-07 |
Exhibition News
최나리·최유희 작가의 2인전 ‘킥 더 문(Kick the Moon)’전이 오는 19일까지 서울 창성동 옆집갤러리에서 열린다. ● 최나리 작가는 인간의 욕망을 표현한다. 작가는 일상에서 경험한 미각 체험과 시각적 이미지를 결합해 현대인의 다양한 모습을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마요네즈와 토마토케첩 튜브에서 연상된 이미지가 남성과 여성이라는 상징적인 코드로 그림 속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들은 인간의 내면적 모습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도 하고 때로는 현대인의 일상과 욕망을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 최유희 작가는 캔버스의 표면을 덮으며 무한히 증식하는 이미지를 통해 현대인의 ‘위장된 삶’을 표현하고 있다. 삶 속에서 닥치는 상황에 따라 태도가 변하는 인간의 모습처럼, 본질적인 현대인의 문제, 상처들을 철저히 감추는 것에 익숙해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보여준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위선적 질서에 대한 문제의식과 비판을 포함한 현실을 드러냈다. <중부일보> joongboo.com 이효선기자 2011-06-02 |
Exhibition News |
Exhibition Preview |
Exhibition News
|
Artwork Feature <국민일보> 2010.05.16 박혜정 ‘모순’ 展 (6월 6일까지 서울 창성동 옆집갤러리· 02-730-2560) |
Exhibition News
|
Gallery News |